성조숙증 원인
남녀 성별에 관계없이 우리 신체는 분비되는 성 호르몬의 종류에 따라 변화가 생깁니다.
여아의 경우 부신에서 남성호르몬이 과다분비되면 유방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남성화 현상(여성에서 남자와 같은 수염발생, 굵은 목소리, 근육 증가 등)이 나타납니다.
또한 남녀 모두 성호르몬이 분비되면 신장(키) 증가 속도가 일시적으로 증가하게 되지만, 조금 시간이 지나면 성장판이 수명이 다하면서 신장의 성장이 멈추게 됩니다.
성호르몬이 이른 시기에 분비되어 신체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성조숙증이라 하며, 시상하부-뇌하수체-성선(난소 또는 고환)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진성 성조숙증, 활성화가 되어있지 않으면 가성 성조숙증이라 합니다.
일반적으로 여아에서는 나쁜 원인 질환없이 성조숙증이 발생하는 특발성이 80%로 가장 많으며, 난소종양이 원인인 경우가 15%, 대뇌 병소가 있는 경우가 5%정도를 차지합니다. 그러나 남아의 경우 나쁜 원인 질환이 없는 특발성 50%, 대뇌 자체에 병소가 있는 경우가 20%, 부신 피질 과형성 혹은 종양이 25%, 고환 종양이 5% 등의 분포를 보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포도 발생 연령에 따라 달라집니다.
성조숙증은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신체변화질환군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